소설은 11월 22일

광마가 알려주는 어휘

haomoondo 2024. 11. 20. 08:42

개평

노름이나 내기 따위에서 남이 가지게 된 몫에서 조금 얻어 가지는 공것.

개활지 (開豁地)

앞이 막히지 않고 탁 트여 시원하게 열려 있는 땅.

(열 개, 뚫린 골짜기 활, 땅 지)

견정혈 (肩井穴)

고개를 숙였을 때 가장 튀어나온 목뼈에서 어깨 끝까지 일직선상의 중간점에 위치한 혈자리다. 어깨 위에 제일 높은 곳으로 누르면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한다.

(어깨 견, 우물 정, 구멍 혈)

곤륜노 (崑崙奴)

중국 삼국시대 이후 피부색이 검은 남해(南海)의 흑인 노예를 부르던 말이다.

(산이름 곤, 산이름 윤, 종 노)

교토삼굴(狡兔三窟)

교활한 토끼는 세 개의 숨을 굴을 파 놓는다는 뜻으로, 사람이 교묘하게 잘 숨어 재난을 피함을 이르는 말.

(교활할 교, 토끼 토, 석 삼, 굴 굴)

구도자 (求道者)

진리나 종교적인 깨달음의 경지를 구하는 사람.

(구할 구, 길 도, 놈 자)

군웅 (群雄)

같은 시대에 여기저기에서 일어난 영웅들.

(무리 군, 수컷 웅)

규화계 (叫化鷄)

거지(규화)가 만든 통닭이라는 뜻으로, 거지가 처음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독특한 요리법을 이용한 닭요리.

(부르짖을 규, 될 화, 닭 계)

( http://shanghaibang.com/shanghai/mobile/news.php?mode=view&num=1059 )

기도 (氣度)

기개와 도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

(기운 기, 법도 도)

기린아 (麒麟兒)

기린의 아이. 슬기와 재주가 아주 뛰어난 젊은이를 일컫는 말.

(기린 기, 기린 린, 아이 아)

기연 (奇緣)

기이한 인연.

(기이할 기, 인연 연)

낭아봉 (狼牙棒)

쇠못을 많이 꽂은 창 비슷한 무기.

(아리 랑, 어금니 아, 막대 봉)

노화순청 (爐火純靑)

난로의 불이 파랗게 타오르는 경지. 예술이나 기예가 최고에 이르렀음을 뜻한다.

(화로 노, 불 화, 순수할 순, 푸를 청)

대막(大漠)

넓은 사막(沙漠). 중국(中國)에서는 특(特)히 고비 사막(沙漠)을 가리킬 때가 많음.

(큰 대, 사막 막)

대롱

가느스름한 통대의 토막.

대붕 (大鵬)

하루에 구만 리(里)를 날아간다는, 매우 큰 상상(想像)의 새. 북해(北海)에 살던 곤(鯤)이라는 물고기가 변해서 되었다고 한다.

(큰 대, 붕새 붕)

도산검림 (刀山劍林)

매우 험난한 지경.

(검 도, 뫼 산, 칼 검, 수풀 림)

돌개바람

열대 지방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을 통틀어 이르는 말. 발생하는 지역에 따라 그 이름이 다르며, 태풍ㆍ선풍ㆍ허리케인ㆍ사이클론 따위로 불린다.

두주불사 (斗酒不辭)

「말술도 사양(辭讓)하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주량(酒量)이 매우 큼을 일컴음.

(말 두, 술 주, 아닐 부, 말씀 사)

만류귀종 (萬流歸宗)

불교에서 일컫는 모든 흐름은 하나로 통일된다는 말로, 무학의 종류는 다르되 절정이 되면 하나의 형태로 움직인다는 뜻이다.

(일만 만, 흐를 류, 돌아갈 귀, 마루 종)

묵가 (墨家)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초기의 사상가 묵자(墨子)를 계승하는 학파. 중앙집권적 체제를 지향하고 실리적인 지역사회의 단결을 주장하는 등 유가(儒家)와 대립한 유력 학파다.이 집단은 거자(巨子)를 지도자로 하여 강력한 단결을 자랑하였다.

(먹 묵, 집 가)

문방사우 (文房四友)

종이, 붓, 먹, 벼루의 네 가지 문방구.

(글월 문, 방 방, 넉 사, 벗 우)

반박귀진 (返朴歸眞)

노장사상의 근본 사상. 돌이켜 되돌려서 진실된 나로 되돌아감을 의미한다. 진실된 나란 원래 위치인 진리일 뿐만 아니라 각자에게 주어진 제자리이다.

(돌이킬 반, 순박할 박, 돌아갈 귀, 참 진)

벌모세수 (伐毛洗髓)

털을 깎아 버리고 골수(骨髓)를 깨끗이 하다; 자신(自身)의 더러움을 철저하게 깨끗이 하다.

(벨 벌, 털 모, 씻을 세, 뼛골 수)

별래무양(別來無恙)

아무 탈이 없으시지요? 건강하시지요? 여전하시지요? [주로 안부 인사에 쓰임.]

(나눌 별, 올 래, 없을 무, 병 양)

복성 (複姓)

두 글자로 된 성(姓).

(겹칠 복, 성씨 성)

복수불반분 (覆水不返盆)

엎어진 물은 그릇에 다시 담을 수 없다.

한번 저질러진 일은 되돌릴 수 없음.

(엎을 복, 물 수, 아니 불, 되돌릴 반, 동이 분)

복안 (腹案)

겉으로 드러내지 아니하고 마음속으로만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배 복, 생각 안)

봉봉계 (棒棒鷄, 방방지)

닭고기를 삶은 뒤, 가늘게 찢어서 그 위에 소스를 뿌려먹는 쓰촨(四川) 지역의 요리다. 쓰촨 음식답게 톡 쏘는 맛부터 아린 매운맛, 단맛, 신맛, 짠맛, 고소한 맛 등 다양한 맛과 향을 두루 느낄 수 있다.

(몽둥이 봉, 몽둥이 봉, 닭 계)

부동명왕(不動明王)

불교) 팔대 명왕의 하나. 중앙을 지키며 일체의 악마를 굴복시키는 왕으로, 보리심이 흔들리지 않는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오른손에 칼, 왼손에 오라를 잡고 불꽃을 등진 채 돌로 된 대좌에 앉아 성난 모양을 하고 있다. 중앙(中央)에 있으며 대일여래(大日如來)가 일체(一切) 악마(惡魔)를 항복(降伏)시키려고 변화(變化)하여 분노(憤怒)한 모습을 나타냈다. 제개장보살의 화신으로 오대존명왕의 하나이기도 하다.

(아닐 부, 움직일 동, 밝을 명, 왕 왕)

불가해 (不可解)

이해할 수 없음.

(아니 불, 옳을 가, 풀 해)

불진 (拂塵)

속칭 솔자(甩子), 불자(拂子), 진미(塵尾), 운전(雲展)으로도 불리는 것으로, 원래 짐승의 털이나 삼 줄기 따위를 묶은 것에 자루를 붙인 모양이며, 먼지를 털거나 모기를 쫓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커다란 붓처럼 생김)

(떨칠 불, 티끌 진)

비산 (飛散)

날아서 흩어짐

(날 비, 흩을 산)

비인부전(非人不傳)

인간 됨됨이가 갖춰지지 않은 자에게는 가르침을 줄 수 없다.

(아닐 비, 사람 닌, 아닐 부, 전할 전)

사마외도 (邪魔外道)

불교) 수행에 방해가 되는 사악한 마귀와 불교 이외의 사교(邪敎)의 무리.

(간사할 사, 마귀 마, 바깥 외, 길 도)

사마의 (司馬懿)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정치가이자 군략가로, 서진(西晋) 건국의 기초를 세웠다.

(맡을 사, 말 마, 아름다울 의)

색목인 (色目人)

중국 원나라 때에, 유럽이나 서아시아, 중부 아시아 등지에서 온 외국인을 통틀어 이르던 말. 주로 터키인, 이란인, 아랍인을 이르던 말인데 피부색이나 눈동자의 색이 다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빛 색, 눈 목, 사람 인)

서황(徐晃)

중국 위나라의 장수. 자는 공명(公明)이다.

(천천히 할 서, 밝을 황)

석룡자 (石龍子)

도룡뇽

(돌 석, 용 용, 아들 자)

석장 (錫杖)

승려가 짚고 다니는 지팡이. 밑부분은 상아나 뿔로, 가운데 부분은 나무로 만들며, 윗부분은 주석으로 만든다. 탑 모양인 윗부분에는 큰 고리가 있고 그 고리에 작은 고리를 여러 개 달아 소리가 나게 되어 있다.

(주석 석, 지팡이 장)

선장 (禪杖)

승려의 지팡이.

(선 선, 지팡이 장)

세불양립 (勢不兩立)

서로 엇비슷한 힘을 지닌 두 세력이 함께 존재할 수 없음.

(형세 세, 아니 불, 두 량, 설 립)

수성 (守城)

적의 공격이나 침략을 막기 위하여 성을 지킴.

(지킬 수, 성 성)

수전노(守錢奴)

돈을 모을 줄만 알아 한번 손에 들어간 것은 도무지 쓰지 않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지킬 수, 돈 전, 종 노)

수호전(水滸傳)

『수호전(水滸傳)』은 『삼국연의』와 함께 널리 중국인들의 사랑을 받는 고전 소설이다. 실재했던 역사적 사건에 근거한 작품이나 내용의 대부분이 허구이며 협객과 호걸들의 삶에 대해 서술하였다.

(물 수, 물가 호, 전할 전)

안빈낙도(安貧樂道)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겨 지킴.

(편안 안, 가난할 빈, 즐길 락, 길 도)

양패구상 (兩敗俱傷)

서로 싸우다가 양쪽 모두 아무것도 얻지 못하고 패하여 상처를 입음. 중국 전국 시대 제나라의 순우(淳于)가 한 말에서 유래하였다.

(두 량, 패할 패, 함께 구, 다칠 상)

오시(忤視)하다

상대편의 위세에 눌리지 아니하고 흘겨보다.

(거스를 오, 볼 시)

옥미갱 (玉米羹, 위미겅)

옥수수와 계란을 함께 끓인 중국식 옥수수 수프. 위미는 옥수수, 겅은 국을 뜻한다.

(구슬 옥, 쌀 미, 국 갱)

용소 (龍沼)

폭포수가 떨어지는 바로 밑에 있는 깊은 웅덩이.

(용 용, 못 소)

위명 (威名)

위력이 있는 명성

(위엄 위, 이름 명)

이규(李逵)

중국의 《수호전》(水滸傳)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108성 중 22위이자 천살성(天殺星)에 해당한다. 별명은 흑선풍(黒旋風) 또는 철우(鐵牛)이다.

(성씨 리, 길거리 규)

이사 (李斯)

중국 진(秦)나라 법가류(法家流)의 정치가. 시황제(始皇帝)를 좇아 분서갱유(焚書坑儒)를 단행시켰다.

(성씨 리, 이 사)

인피면구(人皮面具)

얼굴 가죽으로 만든 가면.

(*면구 : 얼굴을 감추거나 달리 꾸미기 위하여 나무, 종이, 흙 따위로 만들어 얼굴에 쓰는 물건.)

(사람 인, 가죽 피, 얼굴 면, 갖출 구)

잡밀(雜密)

일반적으로 밀교의 근본경정인 『대일경』과 『금강정경』이 성립되기 이전의 밀교사상을 ‘잡밀(雜密)’이라고 하고, 그 이후의 것을 ‘순밀(純密)’이라고 하여 구별한다. 이러한 인도밀교의 두 형태 가운데서 중국에 먼저 전래된 것은 잡밀계통이다.

*밀교(密敎) : 대승불교의 한 분야로 7세기 경 인도에서 성립되었다. 당시 주류였던 소승불교의 단점을 극복하고 실천을 위주로 한 대중불교운동이다.

(대승불교:중생구제가목표, 소승불교:개인해탈이목표)

장(掌)

손바닥

(좌장:왼손바닥, 쌍장:양손바닥)

장(丈)

3.03m

장심 (掌心)

손바닥이나 발바닥의 한가운데.

(손바닥 장, 마음 심)

쟁자수

짐꾼

정종 (正宗)

창시자의 정통을 이어받은 종파.

(바를 정, 마루 종)

주구 (走狗)

1.달음질하는 개라는 뜻으로, 사냥할 때 부리는 개를 이르는 말.

2.남의 사주를 받고 끄나풀 노릇을 하는 사람.

(달릴 주, 개 구)

쥘부채

접었다 폈다 하게 된 부채.

지낭 (智囊)

지혜의 주머니.

(지혜 지, 주머니 낭)

차도지계 (借刀之計)

남의 칼을 빌려 일을 해결하다

(빌릴 차, 칼 도, 갈 지, 셀 계)

찬살 (竄殺)

귀양을 보내어 죽임.

(숨을 찰, 죽일 살)

척후 (斥候)

적의 형편이나 지형 따위를 정찰하고 탐색함.

(물리칠 척, 살필 후)

천령개 (天靈蓋)

두정골(頭頂骨)의 다른 이름. 윗머리뼈. 정수리에 있는 좌우 한쌍의 네모넓적한 뼈를 말한다.

(하늘 천, 신령 령, 덮을 개)

천외천 (天外天)

하늘 밖의 하늘, 도저히 넘을 수 없는 벽에 대한 비유적 표현.

(하늘 천, 바깥 외, 하늘 천)

탄지공(彈指功)

손가락을 이용해 기탄을 쏘는 것.

(탄알 탄, 가리킬 지, 공 공)

탕초리척 (糖醋里脊)

중국 탕수육

(사탕 당, 초 초, 안 리, 등골뼈 척)

풍운아 (風雲兒)

좋은 때를 타고 활동하여 세상에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

(바람 풍, 구름 운, 아이 아)

표홀하다 (飆忽하다)

홀연히 나타났다 사라지는 모양이 빠르다.

(폭풍 표, 갑자기 홀)

피아 (彼我)

그와 나 또는 저편과 이편을 아울러 이르는 말.

(저 피, 나 아)

항장(降將)

항복한 장수

(항복할 항, 장수 장)

형가 (荊軻)

중국 전국시대의 자객. 연(燕)나라 태자 단의 식객이 되어 진(秦)이 침략한 땅을 되찾아 주거나 진왕 정(始皇帝)을 죽여 달라는 단의 부탁을 받고 진왕을 알현하고 죽이려 했으나 실패했다.

(가시나무 형, 사람이름 가)

호소 (湖沼)

늪과 호수를 아울러 이르는 말.

(호수 호, 못 소)

호연지기 (浩然之氣)

1.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 ≪맹자≫ <공손추(公孫丑)>의 상편에 나오는 말이다.

2. 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

(넓을 호, 그럴 연, 갈 지, 기운 기)

허장성세 (虛張聲勢)

실속은 없으면서 큰소리치거나 허세를 부림.

(빌 허, 베풀 장, 소리 성, 형세 세)

화섭자 (火攝子)

현대의 라이터 비스무리한 것.

(불 화, 다스릴 섭, 아들 자)

https://naver.me/GGU48xLE 👍

화안금정 (火眼金睛)

1. 불꽃처럼 이글거리는 금빛 눈알

2. 모든 것을 통찰할 수 있는 안목

(불 화, 눈 안, 쇠 금, 눈동자 정)

회강반조 (廻光返照)

빛을 돌이켜 거꾸로 비춘다는 뜻. 불교의 선종(禪宗)에서 언어나 문자에 의존하지 않고 자기 마음속의 영성(靈性)을 직시하는 것을 의미함. 사람이 죽기 직전에 잠시 온전한 정신이 돌아오는 것을 비유하기도 한다.

(돌 회, 빛 광, 돌이킬 반, 비출 조)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국어사전, 네이버 한자사전, 위키백과...

하 습... 광마회귀 다 보면 여기 나왔던 음식들 싹 다 리스트업 해서 중국 여행 갔다오고 싶다...